가스시설 안전설치 및 관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가스안전은 참빛원주도시가스(주)와 함께 하세요! |
▶ LPG용기
가스용기는 고압가스를 충전·저장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서, LPG용기에는 가정용과 야외에서 주로 사용되는 납붙임용기(부탄캔이라고도 함) 등으로 분류되어 사용됩니다. 가정용 LPG용기는 반드시 환기가 잘되는 옥외에 빗물이나 직사광선을 피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 다 쓴 용기라도 밸브는 반드시 닫아 잔가스의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여야
합니다.
▶ 용기밸브
LPG용기밸브는 가스의 흐름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수도 꼭지와 같이 핸들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닫히고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통로가 열립니다.
※ 용기밸브에는 스프링식 안전장치가 있어 용기내부 압력이 올라가면 자동으로 용기내 압력을 외부로 방출하여 사고를 방지해 줍니다
▶ 염화비닐 호스와 호스밴드
염화비닐 호스는 금속배관과 가스기기기를 연결하는데 쓰입니다. 그리고 배관과 호스의 연결에는 밸브 또는 콕이 사용되는데, 연결 부위를 호스밴드로 꼭 조여서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염화비닐 호스는 자주 점검하여 손상이 있을 경우 지체없이 교환해 주어야 하며, 호스밴드는 부식이 잘되므로 정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 퓨즈콕
퓨즈콕은 가스의 흐름을 개폐하여 배관과 호스를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호스가 빠지거나 절단될 경우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여 화재나 질식사고를 예방하는 안전장치로서 기존의 중간 밸브는 반드시 퓨즈콕으로 교체, 설치해야 합니다.
▶ 압력조정기
압력조정기는 용기내 높은 압력을 연소기에 알맞는 압력으로 일정하게 조절해 주는 기능을 하는 안전장치입니다. 그러므로 조정기가 고장이 나면 공급가스의 압력이 높아져서 불완전 연소되거나 불이 꺼져서 생가스가 나오게 되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연소시 가스불꽃이 너무 크거나 불이 안붙으면 즉시 가스공급자의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 가스누출경보기
가스 누출시 경보를 울리는 장치로서 도시가스는 천장에서 30㎝이내에, LP가스는 바닥에서 30cm이내에 설치해야 합니다.
※ 물이나 기름, 먼지 등이 닿지 않는 곳을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가스누출경보자동차단기
가스누출경보기의 누출점검기능에 차단기능이 더해진 기기로서 검지부의 설치는 가스누출경보기와 동일하나 차단부의 설치는 건물의 외부배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저장설비
용기 등 저장설비는 화기로부터 8m이상 떨어져 설치하고 저장능력이 100kg(50kg용기2개)을 초과할 경우에도 별도의 용기보관실을 설치해야 하며 저장능력이 500kg이상일 경우에는 소형저장탱크나 저장탱크를 설치해야 합니다.
▶ 기화장치
기화장치를 전원에 의하여 조작하는 곳은 자가발전기 등 예비전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용기로 가스를 공급받을 경우에는 사이폰 용기를 사용해야 하며 기화장치가 없는 곳에서는 절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사이폰 용기 : LPG액을 사용하기 위한 용기
▶ 계량기
가스계량기는 가스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기입니다. 가스계량기는 화기로부터 2m이상 떨어져 설치해야 하며 바닦으로부터 1.6m~2.0m 사이에 고정장치로 견고하게 설치해야 합니다.
▶ 배관
배관은 용기, 조정기, 가스계량기 등을 연결하여 가스를 연소기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강관이 주로 사용됩니다.
배관은 환기가 잘되는 곳에 노출시켜 설치해야 합니다. 가스배관을 매몰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동관, 스테인레스강관, 가스용 금속플렉시블호스와 같은 내식성 재료를 사용하여 설치하고 실내 바닥에 설치하는 배관은 사람이 다니다가 밟거나 부딪쳐서 배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 중간밸브(퓨즈콕)
연소기가 설치된 곳에서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퓨즈콕을 설치해야 합니다.
다만 가스소비량이 19,400kcal/h를 초과하거나 사용하는 압력이 저압을 초과할 경우에는 퓨즈콕 대신 배관용 밸브를 중간밸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가스누출경보자동차단장치
가스가 누출되면 경보음과 함께 가스를 자동으로 차단해 주는 장치로서 차단부는 건축물 외부 또는 벽에서 가까운 내부 배관에 설치해야 합니다.
▶ 호스
속배관과 연소기를 연결하는 호스는 최소한의 길이로 연결해야 하는데, 호스의 길이가 길면 꼬여서 가스 흐름이 막힐 수 있고, 화기에 닿는 경우 녹아서 가스누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호스길이는 3m 이내로 사용하며 호스중간에 “T"형으로 연결하여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T형으로 연결하면 외력에 의하여 호스가 쉽게 빠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연소기
업무용 대형연소기는 가스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많이 소비하게 됩니다. 따라서 연소기가 설치된 곳에는 환기구와 환풍기가 있어야 하며 배기통으 설치해야 하는 연소기는 취급설명서에 기재된 대로 배기통을 설치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만일 환풍기나 배기통을 설치하지 않은채 사용하면 일산화탄소에 의한 중독현상을 일으키게 됩니다.